일반직을 현업직과 별도의 교섭단위로 분리할 필요성이 인정된다 > 행정해석

노동자료

부산지역 노동자들의 복지향상 및 문화공간으로 거듭나고자 노력하겠습니다. 한국노한국노총부산지역본부가 함께 합니다.

일반직을 현업직과 별도의 교섭단위로 분리할 필요성이 인정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담당자 댓글 0건 조회 471회 작성일 22-08-31

본문

【요 지】 1.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은 제29조의2에서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조직형태에 관계없이 근로자가 설립하거나 가입한 노동조합이 2개 이상인 경우 교섭대표노동조합을 정하여 교섭을 요구하도록 하는 교섭창구단일화 절차를 규정하고, 제29조의3 제1항에서 “제29조의2에 따라 교섭대표노동조합을 결정하여야 하는 단위(이하 ‘교섭단위’라 한다)는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으로 한다.”라고 규정하면서, 같은 조제2항에서 “제1항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현격한 근로조건의 차이, 고용형태, 교섭 관행 등을 고려하여 교섭단위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노동위원회는 노동관계 당사자의 양쪽 또는 어느 한 쪽의 신청을 받아 교섭단위를 분리하는 결정을 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노동조합법 규정의 내용과 형식, 교섭창구 단일화를 원칙으로 하면서도 일정한 경우 교섭단위의 분리를 인정하고 있는 노동조합법의 입법 취지 등을 고려하면, 노동조합법 제29조의3 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교섭단위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란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별도로 분리된 교섭단위에 의하여 단체교섭을 진행하는 것을 정당화할 만한 현격한 근로조건의 차이, 고용형태, 교섭 관행 등의 사정이 있고, 이로 인하여 교섭대표노동조합을 통하여 교섭창구를 단일화하는 것이 오히려 근로조건의 통일적 형성을 통해 안정적인 교섭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교섭창구 단일화제도의 취지에도 부합하지 않는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예외적인 경우를 의미한다.
   2.  이 사건에서 보건대, 이 사건 회사의 일반직과 현업직 사이에 현격한 근로조건의 차이 및 유의미한 고용형태의 차이가 존재하고, 일반직만을 별도의 교섭단위로 분리하여 교섭이 이루어진 관행은 존재하지 아니하나 이는 일반직이 노동조합법상 근로자단체에 해당하지 않는 본사직원협의회를 통해 이 사건 사용자와 근로조건을 협의해 오다가 2020.5.8. 비로소 참가인 노동조합을 설립하였기 때문이며, 일반직을 별도의 교섭단위로 분리함으로써 달성하려는 이익이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를 유지함으로써 달성되는 이익보다 더 크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일반직을 현업직과 별도의 교섭단위로 분리할 필요성이 인정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