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노조가 22일 오후 서울 중구 금융노조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다음달 16일로 예정한 총파업 계획을 밝히고 있다.
“언론에서 평균 연봉 1억원의 귀족노동자라고 하지만, 실제 과거 14년간 금융노조의 협약임금 인상률은 전 산업 협약임금 인상률보다 낮을 뿐 아니라 공무원임금 인상률보다 낮았다. 금융노동자가 모두 상반기에만 8억원 이상을 받아갔다는 모 은행장과 같은 처지에 있는 게 아니다.”
박홍배 금융노조 위원장이 22일 오후 서울 중구 노조사무실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연봉 1억원 귀족노조’라는 틀짓기 시도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다음달 16일 파업을 앞둔 상황에서 지속하는 외부의 흠집 내기를 넘고 조합원의 참여를 독려하려는 의도다. 이날 노조는 언론 질의에 파업의 경위와 정당성 등을 조목조목 설명했다.
금융산업 평균 임금인상률 2%, 전 산업 평균보다 낮아
관심은 임금에 집중됐다. 노조는 지난달 4월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산별중앙교섭을 하면서 6.1%(저임금직군 12.2%) 임금인상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평균 연봉이 1억원에 달하는 귀족노동자가 과도한 요구를 한다는 세간이 비판이 제기됐다.
그러나 노조는 통계의 왜곡을 짚었다. 김재범 노조 부위원장은 “금융산업은 경영자와 노동자의 평균 급여 차이가 가장 큰 업종”이라며 “전체 총인건비 차원보다 실제 성과 배분을 중심으로 노동자의 지급 실태를 살펴 달라”고 당부했다. 경영진의 과도한 인건비 수급이 금융산업 전체 급여 수준을 부풀리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노조의 임금인상 수준은 높지 않다. 노조가 통계청 자료를 조사한 결과 지난 14년간 노조의 평균 협약임금 인상률은 27.95%로 전 산업 평균 협약임금 인상률(54.1%)보다 낮았다. 14년 전과 비교해 다른 산업 임금이 절반 오를 때 금융산업은 4분의 1만 올랐다는 얘기다. 이는 정부가 철저히 통제하는 공무원(41.6%)보다 낮은 수치다. 연평균 인상률도 2%로, 전 산업(3.86%)에 비해 낮았다.
박 위원장은 “금융노동자는 임금인상 합의 뒤에도 스스로 임금을 반납해 1천800억원 규모의 금융산업공익재단을 출범해 매년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있다”며 “반면 금융사용자는 수익이 1원이라도 나면 배당을 하면서도 ‘드러난 숫자가 부담스럽다’며 노동자에게는 일방적 희생만 강요하고 있다는 점도 고려해 달라”고 강조했다.
“영업점 폐쇄, 금융공공성 훼손 대표적 사례”
영업점 폐쇄도 도마에 올랐다. 박 위원장은 “최근 영업점 폐쇄는 지방과 수도권의 외곽, 구도심, 강북을 중심으로 이뤄져 많은 디지털 취약계층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며 “적자가 나는 것도 아니고 다른 점포보다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점포를 폐쇄하는 것은 금융 공공성을 외면한 금융사용자의 도덕적 해이”라고 비판했다. 신현호 노조 부위원장은 “영업점 폐쇄는 금융 공공성 훼손이 명징하게 드러나는 하나의 사례”라며 “근본적으로 수익만 앞세우는 금융회사 지배구조를 개편해야 할 문제로, 향후 파업투쟁 과정에서 문제제기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융공공기관의 단체교섭권 침해와 기획재정부의 연이은 공공기관 구조조정도 화두다. 노조에는 금융공공기관 9곳이 가입해 있다. 이들은 산별중앙교섭에도 기재부의 각종 지침 통제를 받아 사실상 교섭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박 위원장은 “정부는 기능 축소와 자산 매각, 예산 절감, 인력 감축을 강요하고 있다”며 “취업규칙 불이익변경을 추진하면서 노조를 무시하고 있다. 유감을 표하며 중단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공공기관 구조조정 중단을 촉구하기도 했다. 노조는 “정부는 민간자본 이익을 위해 공공기능을 축소하고 업무량을 늘린 가운데 인원은 줄이라고 하고 있다”며 “공공기관의 기능과 역할을 무시하고 노동기본권마저 짓밟는 폭력적인 만행”이라고 규탄했다.
▲ 금융노조 국책금융기관노조협의회가 22일 오전 금융위가 위치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금융위의 혁신 가이드라인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