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이 올해 임금교섭에서 9.1% 임금인상을 요구하기로 했다. 정부가 고삐를 푼 탓에 무섭게 치솟는 전기·가스·교통비 등 공공요금 인상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요구안이다.
한국노총은 13일 오후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올해 임금인상요구율 9.1%를 확정했다. 경제성장률 전망치(1.6%)와 소비자물가 상승률(3.5%), 물가폭등에 따른 실질임금 보전분(4.0%)을 더한 수치다. 한국노총이 9%대 인상률을 요구한 것은 2018년(9.2%) 이후 5년 만이다. 비정규직 임금인상요구안은 월급여 34만8천483원 정액을 요구했다.
한국노총은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세 차례에 걸쳐 연대임금조성분을 요구율 계산에 포함했지만 올해에는 제외했다. 실질임금 인상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했다는 후문이다. 연대임금전략을 중단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고물가 기조가 지속하면서 임금인상률이 물가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해 실질임금 저하 현상이 발생했고 그 피해는 비정규직·특수고용직·프리랜서 등 노동 취약계층으로 이어졌다”며 “코로나 사태로 더욱 확대한 양극화가 고물가·저성장 시기 소득을 중심으로 더욱 악화할 우려가 있어 실질임금 인상 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연대임금전략은 임금격차를 축소하는 수단으로서 지속한다는 구상이다.
올해는 실질임금 보전이 시급하다고 봤다. 보전분(4.0%)은 지난해 물가상승률(5.1%)에서 이전 3년 평균 물가상승률(1.1%)을 빼서 구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임금불평등 격차를 줄이기 위해 비정규직 임금은 정액 인상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임금수준은 53.7%다. 비정규직 월평균 임금을 정액 34만8천483원 인상하면 정규직 대비 57.8%로 개선된다.
한국노총은 “지난해 52개 품목으로 구성한 실생활 필수물가는 8.1% 증가했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공공요금 대폭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며 “지난 몇 년간 물가인상으로 노동자 실질임금은 저하했고, 노동자 가구 생계유지를 위해 올해 임금인상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